Hoover Dam
경제 대공황의 위기를 탈출케 한 라스베가스의 젖줄 - 후버댐

"왔노라, 보았노라, 그리고 압도됐노라!(I came, I saw, and I was conquered)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1935 이곳을 찾았을 이렇게 외쳤다.

 

 

미국의 10 거대 구조물에 속하는 후버댐은 미국의 31 대통령인 하버트 후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930년대 미국이 대공황으로 허덕이던 1931 3 시작된 후버 건설 공사는 1935 5 29 마지막 콘크리트를 부으면서 마무리됐다. 엄청난 돈을 투입해 경제를 부흥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후버 댐의 명칭은 건설 시작 당시 공화당 출신 허버트 후버(재임 192933) 대통령의 이름에서 땄다. 그러나 후버 대통령이 선거에서 민주당의 프랭클린 루스벨트 후보에게 패하자 근처 지명을 볼더 댐으로 불렸다. 1945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망하자 의회 결정에 따라 다시 후버 댐으로 돌아갔다. 이름조차 정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던 셈이다.

 


댐의 두께는 2 미터, 높이는 221.4미터, 폭발로 부서진 바위는 9백만톤으로 만리장성을 쌓고도 남을 양이며,
댐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LA에서 마이애미까지 (비행기로 6-7시간 거리) 왕복 2차선을 놓을 있는 양이 소모되었다.


 
 

공사기간 중에는 하루 50여명이 부상을 당하고 전체 공사기간 동안 94명의 인부가 공사기간 중에는 하루 50여명이 부상을 당하고 전체 공사기간 동안 94명의 인부가 목숨을 잃는 결과도 낳았다.
후버댐의
건설로 콜로라도강의 범람이 없어지고 세계 최대의 도박도시인 라스베가스가 탄생했으며, 노동에 지친 인부들을 위해 세계
최대의 인공 호수인 미드호(lake mead) 만들게 되었다.
건설로 생긴 미드 () 물을 방출하지 않고 6 이상 버틸 있는 저수량을 갖고 있다.

 

후버댐 설립의 가장 의의는 공황 탈출의 계기를 마련했지만, 범람하던 콜로라도 강의 홍수 조절, 경작지를 위한 물의 저장, 수력 발전을 이용한 서부 지역에 저렴하게  공급하게 전기등의 의의가 크다.


 


후버 대통령은 미국의 경제 침체기였던 당시, 미국인들의 단결과 경제활성을 위해 가지 공사를 계획했다. 거의 인간이 없을 것이라던 이러한 대공사를 마무리 했음에도 존경받는 대통령이 없었던 이유는 공사와 함께 옳지 못한 일들을 많이 수용했기 때문인데, 이를테면 공사에 참여할 인부들을 구하기 어렵게 되자 주변에 매춘과 도박 등을 허용하여 사람을 모집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미국 여론의 거센 반발을 일으키는 결과를 낳았고, 댐의 규모가 클수록 잠기는 면적도 넓어져 엄청난 규모의 숲을 잃었다. 댐에는 퇴적물이 쌓이고 하류는 물이 말라 생태계가 바뀐 결과를 초래했으며 연어 같은 회귀어종은 고향으로 돌아갈 없게 되었다. 자연과 개발이라는 가지 상반된 명제 아래 인류의 건설을 계속되었고 자연환경이 주요 화두로 언급되는 지금에도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외에 후버대통령은 뉴욕시에 있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과 유타주 국립공원내의 터널 샌프란시스코의 상징인 금문교(Gloden Bridge) 건설하여 미국의 대공황을 타게하는 역할을 감당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대적 공사는 결국 미국인 노동자의 부족으로 세계적으로 인구 밀도가 높은 중국의 도움을 받게 되었고 그들로 인해 차이나타운이 조성되기도 했다. 지금도 미국 뉴욕에 가면 가장 많은 인구밀도와 인구수를 자랑하는 곳이 차이나타운이다.


대공황이란 역경 속에 지어진 후버댐이 있었기에 지금의 라스베가스가 존재할 있다는 사실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지금도 라스베가스의 전기와 물의 대부분이 후버댐을 통해 공급되어지고 있으니 말이다.

,